안녕하세요
변솊 입니다.
이번글은 저번글에서 다뤘던 육수(Stock)에 대한 심화 내용입니다.
이전 글에서 가장 기본적인 육수의 종류와 그들의 특징에 대해서 간략한 설명을 했습니다.
조금 더 깊이 있게 세분화 하고, 그 차이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.
앞서 나왔던 4가지 육수
1. 채소 육수 (Vegetable Stock)
2. 닭 육수 (Chicken Stock)
3. 생선 육수 (Fish Stock)
4. 소 육수 (Beef Stock)
위 네가지 육수 중 닭 육수와 소 육수는 그 색에 따라 한번더 나뉩니다.
(나머지 두개의 육수도 셰프의 의지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는 충분히 나눠질 수 있습니다)
-Brown Chicken Stock / White Chicken Stock
-Brown Beef Stock / White Beef Stock
두가지 육수다 'Brown' 과 'White' 라는 색상으로 나뉘어 지는데요.
이는 완성된 육수의 색, 만드는 과정,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차이를 나타냅니다.
Brown Stock 과 White Stock 에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수 있는 두가지는;
1. 뼈와 고기의 로스팅(Roasting) 여부
2. 토마토 페이스트(Tomato Paste)의 여부
우선 첫째로, Brown Stock 의 경우에는 재료가 되는 뼈와 고기, 미르포와가 오븐에서 로스팅(Roasting)의 과정을 거칩니다.
이 과정은 뼈와 고기에 마이야르 반응(Maillard Reaction)을 통한 맛과 향을 줌으로써 그 맛과 향이 육수로 추출되도록 합니다.
이과정을 겨처서 얻은 육수(Brown Stock)은 그렇지 않은 육수(White Stock) 보다
1. 훨씬 진한 색을 가집니다
2. 더 깊은 맛을 가집니다
3. 더 진한 향을 가집니다
둘째, 토마토 페이스트(Tomato Paste)가 들어갑니다.
이 토마토 페이스트는 주로 뼈나 고기, 미르포와를 로스팅 하는 과정에 첨가 됩니다.
첨가된 토마토 페이스트는
1. 마이야르 반응(Maillard Reaction)을 돕습니다
2. 육수가 한층더 복잡한 맛(Complexity of Flavour)을 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.
이렇게 만들어진 Brown Stock과 White Stock은
맛, 향, 색, 에서 차이점이 분명한 만큼, 자신이 원하는 용도에 맞는 적절한 사용이 필요하겠죠.
저번 글 부터 이번 글 까지 해서 가장 대표적인 4가지 육수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.
셰프로서 육수(Stock)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.
자신의 것으로 만들어, 자신의 육수(Stock)에 자부심을 가지는 셰프가 될 수 있도록 합시다.
감사합니다.
'요리 칼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opic 7] 마이야르 반응(Maillard Reaction) (0) | 2019.03.04 |
---|---|
[Topic 4] 육수 (Stock) (0) | 2019.03.01 |
[Topic 3] 스테이크 (소) (0) | 2019.03.01 |
[Topic 2] 조리법 (Cooking Method) (0) | 2019.03.01 |
[Topic 1] 요리란? (0) | 2019.03.01 |